VC는 투자금의 관리자이자 스타트업의 발굴자다.
투자자의 유형 중 기관투자자,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벤처캐피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벤처캐피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어보겠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펀드상품 가입이 유행한 적이 있다.
주식투자가 어려운 개인들이 펀드매니저라는 투자전문가에게 자금을 맡기면
펀드매니저가 대신 좋은 종목에 투자해주는 방식으로
직장인들에게 필수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잡은 적이 있었다.

벤처캐피탈(이하 VC)은 이 펀드매니저와 본질적으로 같은 역할을 한다.
즉 VC는 출자자들의 자금을 관리하며 대신 투자해주는 전문투자기관이다.
VC는 일반적으로 'OO창업투자회사', 'OO인베스트먼트'와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 어떤 VC들이 있는지 알고 싶다면 넥스트유니콘에 접속하면 된다.
넥스트유니콘은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해주는 플랫폼으로 VC와 컨택하거나
유용한 투자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넥스트유니콘 | 스타트업 전문투자자 연결 플랫폼
넥스트유니콘에서 스타트업과 전문투자자 정보를 확인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해보세요.
www.nextunicorn.kr
펀드의 진짜 주인은 누구? - LP와 GP 구조의 이해
VC를 이해하는 데 있어 꼭 알아야할 것이 바로 '펀드'라는 개념이다.
나는 펀드에 대한 이해가 투자를 유치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펀드는 VC가 투자를 목적으로 조성한 기금이다.
중소벤처기업부, 문화체육관광부와 같은 정부 관련 기관의 자금과 일반 개인 또는 기업들의 출자금,
그리고 VC의 자기자금 등이 모여 조성된다.
펀드의 운용구조는 LP(Limited Partner)와 GP(General Partner)로 이루어진다.
LP는 공공기관이나 일반 기업과 같은 출자자를 의미하고 GP는 펀드를 운용하는 VC를 의미한다.

펀드를 이해할 때 가장 중요한 핵심은 투자금이 VC의 돈이 아니라는 것이다.
VC의 출자금도 일부 포함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외부출자자들의 자금으로 구성된다.
이런 이유로 펀드는 단순히 수익성만을 목적으로 투자를 하는 게 아니라
출자자의 다양한 목적과 의도가 반영된 투자를 해야 한다.
모태펀드와 투자 목적
정부는 각종 산업의 진흥을 위해 공적 자금으로 산업별 투자 기금을 조성하는데 이를 '모태펀드'라 한다.
이후 모태펀드를 운용할 VC를 선정하고, 해당 펀드의 목적에 맞는 투자를 하도록 요구한다.
예컨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펀드를 보유한 VC는 바이오 기업에만 투자가 가능하며,
여성 기업인 육성을 위한 펀드를 보유한 VC는 여성이 대표자인 기업에만 투자가 가능하다.

이 사실은 두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첫번째는 당신의 사업분야에 할당된 투자기금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투자를 받으려면 당신에게 투자 가능한 펀드를 보유한 VC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콘텐츠 기업인데 해양신산업 관련 펀드를 운용하는 VC에게 찾아간다면,
투자를 받을 가능성은 제로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내가 투자를 받을 가능성이 제로가 아니라 제로에 가깝다고 한 이유는,
펀드의 목적과 당신의 사업 분야가 완벽히 부합하지 않더라도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펀드는 전체 금액의 일정 비율 내에서 목적과 무관한 기업에도 투자할 수 있다.
이는 투자 조건에 맞는 기업을 찾기 어려워
펀드 운용 기간 안에 투자금을 다 소진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위함이다.
나 역시 첫번째 투자를 콘텐츠와는 전혀 무관한 펀드에서 받았던 경험이 있는데,
이를 통해 나는 펀드의 목적과 무관한 투자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당신의 사업에 적합한 펀드를 보유한 VC를
우선적으로 찾는 것이 시간을 아끼고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VC 투자의 특성과 전략
VC가 운용하는 펀드는 주로 스타트업에 투자를 진행한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 기업에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런 상황에서 수익을 내려면 소수의 기업이 수십배에서 수백배의 이르는 높은 수익을 창출해
전체 손실을 만회하고도 남아야 한다.
결국 VC의 투자는 전형적인 'High Risk & High Return' 구조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VC는 대부분의 투자 손실을 만회할 수 있을 정도로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진 기업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전략과 사례에 대해서는 이후 장에서 좀 더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다음에는 VC를 찾아 접촉하는 방법과 VC가 어떤 과정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필자는 크몽을 통해 투자 유치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필자와의 상담이나 의뢰를 신청할 수 있다.
60억 투자 유치 성공/ 사업계획서 / 실전 IR덱 - 크몽
Lozenfelt 전문가의 창업·사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strong style="font-size: 24px;&q...
kmong.com
'투자 유치 경험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치 100억?창업자가 흔히 빠지는 착각 (1) | 2025.07.01 |
---|---|
나는 이렇게 63곳의 투자사를 만났다. (0) | 2025.06.29 |
VC, 엔젤, 전략적 투자, 당신에게 맞는 투자자는? (2) | 2025.06.26 |
투자 유치 그냥 돈 받는 게 아니다. -투자 유치란? (3) | 2025.06.25 |